2011년 5월 29일 오후의 4절터(덧붙임은 시간나는대로...ㅠ_ㅠ)
1. 충주 청룡사터
자그마한 골짜기에 이렇게 이쁜 절터가 있나 싶다. 청룡사터라는 이름조차 처음 들어봤는데 입구에 도착하니 버젓한(?) 문화해설사 가건물이 있고 해설사도 2명이나 상주하고 있다. 보통은 주말에는 당번 설 사람이 없어 비워두기 쉬운데 충주의 해설사들은 열의가 넘쳐보였다. 해설사 1분을 따라 작은 개울을 낀 예쁜 오솔길을 살짝 걸었다.
처음 만난 소박한 비는 이 청룡사터를 세울 때 시주한 사람들의 명단과 사연을 담은 비란다. 지금은 나무가 우거진 이 주변 모두가 절터라고 하니 꽤나 큰 절이었던 듯.
조금 더 올라가니 삿갓형부도(?)와 종형부도가 아래채를 차지하고 좀 더 위쪽에 보각국사정혜원융탑을 가운데 두고 석등과 비가 앞뒤로 서 있다.
이 비석이 시주자비. 보각국사 혼수스님의 부도비보다 화려하다...ㅎㅎ
8부중상이 조각된 부도와 보각국사의 명복을 비는 장명등인 사자석등과 스님의 행적을 기록한 비가 나란히 서 있다. 화려한 석등과 부도에 비해 비석은 소박단순하다. 이수와 귀부 모두 생략하고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다듬었다.
사자석등이래서 사자인줄 알았다. 영락없는 두꺼비몽타주....
그 아래쪽에 있었던 삿갓쓴부도와 종형부도.
2. 충주 탑평리7층석탑(중앙탑)
3. 월악산의 사자빈신사터(師子頻迅寺)
사자빈신. 화엄경 입법계품 ‘세존이 모든 보살들을 여래의 사자빈신삼매에 들어가게 하려고 미간백호로부터 큰 광명을 놓는다’라는 말에서 나왔다. 어디에도 구애되지 않고 사자와 같이 용맹하게 중생구제에 힘쓰겠다는 뜻이다.
아래는 <한국금석문영상종합정부시스템>에 실려있는 판독문
불제자(佛弟子) 고려국(高麗國) 중주(中州) 월악산(月岳山) 사자빈신사(獅子頻迅寺)의 동량(棟梁)은 삼가 받듭니다.
|
*성왕 : 전륜성왕, 불법을 수호하고 통치하는 전설속의 임금(고려 국왕을 지칭하는 뜻으로 풀이)
* 원적 : 고려와 3차에 걸쳐 전쟁을 벌인 거란의 요(遼)나라를 지칭
* 화장미생 : 화장(연호장섹)가 생을 미혹하다
* 태평 : 요(遼)나라 성종(聖宗)의 3번째 연호이며, 모두 10년간 사용되었다.(1021~1030)
4.월악산 미륵리절터(미륵대원)
'짧은여정 긴호흡 > 답사가는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창녕-교동고분군과 관룡사, 청도-녹동서원...도동서원 등 (0) | 2013.01.22 |
---|---|
경주외곽안강 -흥덕왕릉과 양동마을 독락당 정혜사지 (0) | 2013.01.12 |
남한강따라-법천사터와 거돈사터 (0) | 2012.11.25 |
최치원 사산비문중 <대숭복사비> 원문과 풀이 (0) | 2012.07.27 |
남한강따라-흥법사터와 고달사터, 경지에 이르렀는가 (0) | 2011.11.07 |